티스토리 뷰

생활정보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은?

정보리스트 2020. 3. 3. 08:00
반응형

보건증 인터넷 발급으로 해결

보건증의 발급 방법

보건증 재발급

보건증은 일반 음식점이나 급식소 같은 곳에서 음식과 관련된 직장에서 일하게 되는 경우 필수요구 서류인데요. 식품 제조업에서는 식품바이러스와 세균이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보건증이 없는 사람은 고용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보건증은 나의 건강이 이상이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서류인데요.

예전에는 보건증을 발급받으려면 보건소를 방문하여야 했었는데요. 이제는 인터넷으로도 간편하게 보건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그전에 보건소에 방문을 하여야 하는데요. 건강진단결과서와 폐결핵과 전염성 피부질환 장티푸스 검사를 하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폐결핵은 상의 탈의후 흉부 엑스레이 촬영을 하여 검사하며 전염성 피부질환은 양손을 확인하여 검사합니다. 장티푸스는 검체를 항문에 삽입하여 체취하여 검사하게 됩니다. 보건증의 발급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4~5일 정도 소요가 되는데요. 보건소에 방문하여서 수령하거나 인터넷으로 수령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무인발급기에서도 발급이 가능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럼 인터넷 발급은 어떻게 되는 것일까요?


인터넷 발급의 경우에는 보건소 홈페이지나 공공보건포털, 정부24 사이트를 이용하여 발급을 받으면 되는데요. 발급받기전에 공인인증서와 출력이 가능한 프린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먼저 준비를 하셔야 합니다. 온라인을 많이 사용하시는 분이라면 기본적으로 공인인증서와 프린터는 구비가 되어 있을 텐데요.

공공보건 포털에서 제증명발급코너에 들어가면 검사받은 보건소 선택하여 보건증을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인터넷 발급의 경우는 재발급이 가능하여 언제든지 출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건증이 자주 필요할 경우에는 미리 준비를 해두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보건증의 유효기간은 검사일로부터 1년이니 1년후에는 다시 보건소를 방문하여 검사를 받고 보건증을 발급받으셔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