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여자방광염의 자가증상과 치료 방법
소변에 관련해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다고 느끼신분 있을까요?
소변을 참을 수 없고
소변을 볼때나 소변을 보고난 후 아프고
소변에서 핏빚이 비치고
소변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고
아랫배가 계속아픈이런 문제를 느끼고 계시다면 방광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방광염은 세균의 침입에 의해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방광내벽에 염증이 나타나는 것인데요.
방광염이 걸리게 되면 소변에 관련하여 증상이 나타납니다.
특히 여성은 요도가 짧으면서, 회음부와 질 입구에 쉽게 세균증식이 가능해서 더욱 가능성이 높고 성적인접촉과 임신등으로 세균이 방광으로 이동하기 쉬워 감염이 유리하기때문에 여자 방광염증상 발병이 빈번하게 되는 것입니다.
방광염이 걸리고 나면 소변볼때 따갑고 소변이 자주 마려우며 붉은 소변과 고열, 구토가 나타나게 되는데요.
방광염의 진단은 임상 증상과 요 검사에 의해 이루어 집니다.
방광염은 여성의 외음부 질염과 유사하므로 질 분비물검사와 내진을 통해 감별하게 되는데요.
요도증후군도 방광염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지만 요 배양 검사에서 세균 검출이 적은 특징이 있습니다.
신장의 감염은 발열과 옆구리 통증 같은 측복부 통증을 호소하므로 방광염과 구별할 수 있습니다.
만성 방광염은 결핵, 요도염증후군 등과 유사하지만 소변검사나 배양검사 등으로 감별할 수 있습니다.
방광염의 치료는 적절한 항생제의 사용입니다.
항균제의 투여 기간은 3일 요법이 표준이지만, 최근에는 1일 요법도 3일 요법과 동일한 효과가 있으며, 1회 복용만으로도 효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만성 방광염의 경우는 장기간의 항생제 투여를 고려해야 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만성 방광염의 유발 요인을 찾아 이를 제거 혹은 교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급성 및 만성 방광염의 가장 중요한 합병증은 상행성 감염에 의한 신장감염입니다.
특히 임산부에서 상행성 감염이 자주 발생합니다.
그러나 대개는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통해 쉽게 치유되며, 별다른 후유증을 남기지 않습니다.
여자방광염을 예방을 하시려면 적당량의 수분 섭취는 체내의 세균을 몸 밖으로 배출시키므로 방광염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서 방광염이 재발하는 경우에는 여성 호르몬을 보충하는 것도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평소생활시 배변이나 배뇨 후 회음부 및 항문 세척 시 앞에서 뒤로 세척하는 습관이 중요며 부부관계 전후에 생식기를 청결하게 하고 부부관계 직후에는 배뇨하는 습관을 갖는게 좋습니다.
소변을 너무 참는 것도 좋지 않으며 여성의 경우 잦은 질 세척은 오히려 정상 세균을 사멸시켜 질 내 세균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저의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버튼을 뀩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