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건강

갱년기에 위험한 여성암의 모든 것

정보리스트 2018. 2. 11. 23:03
반응형

갱년기에 위험한 여성암의 모든 것

 

 

 

 

갱년기란?

성성숙기에서 노년기로의 이행기이고 내분비기능, 특히 난소기능이 쇠퇴하고 차츰 월경불순, 무배란 등에서 폐경에 이르러 성기의 위축, 전신적 노화현상을 수반한다. 갱년기는 개인차가 있는데 대체로 45세에서 55세에 해당합니다.

이 시기에는 자주 발작성 흥분, 안면홍조, 두통, 심계항진, 현기증, 이명, 불면 등의 혈관운동장애나 위장장애, 정신장애 등, 여러가지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고, 이상의 증상을 수반하는 증후군을 갱년기장애 climacteric disorder라고 합니다.

이상의 갱년기장애나 성교장애가 뚜렷한 때에는 성호르몬에 의한 호르몬 요법이 이루어집니다.


 

 

 

 

 

갱년기에 나타나는 질환에는 자궁 근종, 자궁 내막증, 자궁 경부암, 난소암이 있는데요.

 

자궁근종이란?

자궁근종은 자궁 평활근에서 유래되는 양성종양으로, 여성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에서 가장 흔한 종양입니다. 자궁근종은 30~40세에 많이 발생하며 35세 이상의 여성 중 약 20%가 가지고 있습니다.

자궁근종은 가장 흔히 체부에 발생하지만 드물게는 경관, 자궁인대 또는 자궁경부(5% 미만)에도 생깁니다.

폐경기 후에 그 크기가 증가하면 근종의 2차성 변성, 특히 육종성 변화나, 폐경기 후 난소 또는 그 이외의 장기에서 여성호르몬의 분비과다를 의심해야 합니다.

폐경 이후에 새롭게 생기는 근종은 예후가 나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궁 내막증이란?

자궁내막증이란 자궁 안에 있어야 할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밖의 복강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가임기 여성의 약 10~15%에서 발생되는 흔한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심한 월경통과 하복부 통증, 불임 등이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은 그 빈도가 매우 높은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수술 전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재발을 잘하고 계속 진행하는 특성을 보여 치료에 있어서도 매우 까다롭습니다.

 

 

 

자궁경부암이란?
자궁은 체부와 경부로 구성되는데, 질에 연결된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을 자궁 경부암이라고 합니다. 자궁 경부암은 전 세계적으로 여성에게 발병하는 암 중 두 번째로 흔한 암이며, 자궁 경부암의 약 80%는 아시아, 남미, 아프리카 등의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자궁 경부암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전체 암 중에서 4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앙암등록본부의 보고(1999~2002년)에 의하면 연평균 전체 여성암 환자 46,476명 중 자궁 경부암 환자가 4,394명으로 약 9.5%를 차지하고 있다.

 

 

난소암이란?

난소는 자궁의 양옆에 위치한 생식샘으로 작은 살구 씨 모양을 하고 있으며 여성호르몬을 만들고 난자들과 생식세포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난소암은 암이 발생하는 조직에 따라 크게 상피세포암, 배세포종양, 그리고 성삭 기질 종양으로 구분하는데 이 중 난소 표면의 상피세포에서 발생하 난소 상피세포암이 전체 난소암의 90% 이상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난소 상피세포암의 세포형태에 따른 세부 분류

• 장액성 난소암

• 점액성 난소암

• 자궁내막양 난소암

• 투명세포암

• 브레너 종양

• 미분화세포암

• 미분류 난소암

 

 

저의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버튼을 뀩 눌러주세요!

반응형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